Q> 유치원에서 하는 활동에 참여하지 않고 유치원에서 하는 활동에 참여하지 않고 가만히 서있기만 합니다. 활동들에 큰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재미없어하거나 혹은 거부하기도 하며, 활동하는 친구들 주변을 빙빙 돌면서 함께 어울리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어떻게 지도하는 것이 좋을까요?
A>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행동이 아동이 교사가 계획하거나 자기가 시작한 학급활동에 건설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모든 경우를 말한다. 주위에서 서성대거나 자료를 만지지 않거나 집단 활동을 할 때 한구석에 따로 떨어져 있거나 참여하도록 요청 받을 때 거부하는 등의 행동이 이에 속한다.
1.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아동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원인을 가질 수 있다.
① 부모와의 관계에서 빚어지는 원인이 많은데, 부모가 지나친 기대를 하여 아동의 활동에 불만을 보이거나 다른 사람과 비교함으로서 열등감을 느끼게 한 경우, 아동은 활동들(그림, 만들기, 놀이)에 흥미를 잃기 쉽다. 부모가 잔소리를 많이 하고 재촉하는 경우에도 아동은 자주적인 활동에 자신감을 형성하지 못하게 되어 연령에 맞는 활동을 할 수 없게 되기도 한다.
② 기질이나 성격적으로 매우 수줍음을 타는 아동은 유치원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어렵게 생각할 수 있다.
③ 제공된 자료나 활동이 아동에게 적합하지 못한 경우, 유치원에서 제공된 활동들이 아동에게 흥미가 없기 때문에 참여를 꺼려할 가능성도 있다.
④ 지능이 너무 높아 집단의 놀이가 흥미롭지 못한 경우나 이와는 반대로 지적능력이나 신체적·기능적 발달과 언어발달이 늦은 아동의 경우, 또래 아동과의 활동에 참여하기 싫어한다.
⑤ 아동의 시각 또는 청각 등의 감각지각적 결함이나 신체적 결함으로 인해 활동에 참여하기를 꺼려할 수도 있고, 지적 발달이 늦거나 특수한 대뇌장애로 동기 유발이 잘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⑥ 빈곤하거나 지나치게 많은 물건을 가진 아동으로서 환경적인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⑦ 활동에 참여하지 않음으로써 교사로부터 관심이 강화요인이 될 수도 있다.
⑧ 단지 어떤 한 가지 활동에만 참여하기를 거절한다면 그 활동에 대해 아동이 어떤 잘못된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다. 2. 이와 같은 경우 부모나 교사는 다음과 같은 지도방법으로 아동을 도울 수 있다.
아동이 좋아하는 활동보다 부모가 좋아하는 활동만을 강요하여 열등감을 느껴서 못하게 된 경우라면, 아동이 스스로 활동을 선택하여 놀 수 있도록 존중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부모가 “넌 나이가 몇 살인데, 그런 놀이를 하니?”라고 하기보다는 “와, ○○는 그 놀이를 그런 방법으로 할 수도 있구나.”라고 말해줄 수 있다.
② 행동수정요법으로 아동이 활동에 참여하면 관심을 받게 되고, 활동에 참여하지 않으면 무시된다는 것을 전달하는 것이다. 처음에는 아동이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다른 아이들을 단지 바라만볼 때에도 강화를 주어 아동이 차츰 활동에 참여하는 양이나 빈도를 늘이는 것이다. 아동이 활동에 완전히 참여하게 되면 강화를 줄이도록 한다. 아동이 활동에 참여하지 않을 때는 인정도 부정도 하지 말고 단지 중립적으로 반응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미소 짓거나, 반응하거나, 쳐다보지 말고 너무 가까이 있지 않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③ 유치원이나 유치원에 관련된 어떤 것에 불안이나 공포를 느끼는 경우라면, 그런 느낌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아동이 유치원에 대해 안심하고 믿을 수 있도록 관심을 갖고 격려를 해주는 것이다. 또한 두려움 때문에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아동은 선생님의 관심에 오히려 움츠려 들기 때문에 아동의 두려움이 완화되도록 신뢰하는 관계를 확립시켜 나가야 한다.
④ 제공된 자료나 활동이 아동에게 적합하지 않다면 아동의 흥미에 알맞은 적절한 자료나 설비를 제공해주는 것도 필요하다. 만약 아동이 활동자체에 대해 흥미가 없다면, 아동의 흥미를 존중하고 마음껏 실험해 보도록 부담 없는 활동, 예를 들어, 종이 찢기, 밀가루 반죽, 물붓그림 등을 주어 수시로 놀게 한다
⑤ 열등감이 심하거나 자신감이 부족한 아동의 경우, 아동이 한 일이나 활동에 애정 및 칭찬, 인정과 같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준다.
⑥ 활동을 잘 못하는 아동의 것도 존중해주어 아동이 열등감을 느끼지 않도록 배려해 준다. 예를 들어, 아동의 그림을 벽에 붙일 때는 모든 아동의 것을 다 붙이는 것이 좋다. 잘한 작품만 전시해 줄 경우, 열등감이 생길 수 있다.
⑦ 지능이 너무 낮거나 언어발달이 늦어서 활동에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는 쉬운 활동을 시작으로 여러 가지 활동에 참여하게 하여 그 활동들을 친숙하게 적응시킬 수 있다.
⑧ 감각지각 능력이나 신체적 결함이 있다면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보게 하고, 건강하지 못해 활동을 싫어하게 된 것으로 판단되는 아동은 활동범위를 넓혀주도록 배려해준다.
⑨ 단지 어떤 한 가지 활동에만 참여하기를 거절한다면, 그 활동에 대해 아동이 어떤 잘못된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아동에게 왜 그 활동에 참여하고 싶지 않은지 물어보고, 아동의 이유를 이해했다면 그 생각을 고쳐주도록 노력해야 한다.
⑩ 다른 친구들에게 관심을 갖고 활동이나 놀이에 흥미를 느낄 수 있을 때까지 관심을 갖고 도와주도록 한다면 점차 개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자료제공 : 다솜아동청소년 연구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