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글

[스크랩] 사랑의 언어

우야씨의 일상 2008. 1. 10. 18:03
       사랑의 언어  - 인정하는 말-


사람들은 각자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사랑의 표현을 하며 살아간다.

그러나 각 사람들의 사랑의 언어 형성과정은 다양한 환경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주변의 어른이나 부모로부터 사랑받은 정도와 방식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사랑하여 결혼한 부부간에도 똑같은 사랑의 언어를 공유하기는 쉽지 않다.

배우자의 사랑의 표현을 잘 이해하지 못하면 오해와 혼란을 겪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 행복한 결혼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배우자의 사랑의 언어를 배우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20년간 결혼 상담을 해온 ‘게리 체프먼’은 그의 저서「행복한 가정을 만드는 5가지 사랑」에서 사랑의 언어를 ‘인정하는 말’, ‘함께하는 시간’, ‘선물’과 ‘봉사’, ‘육체적 접촉’ 등 다섯 가지로 소개하고 있다.

사람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랑의 언어가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인정하는 말은 중요한 사랑의 언어 중의 하나이다.

모든 사람은 어린이로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인정을 받고 싶어 한다.
특히 배우자에게 받는 인정은 결혼생활에 더 큰 의미를 주며 자신감과 자긍심을 갖게 한다. 

인정하는 말은 칭찬, 격려, 감사의 언어로 전달된다.

부부간에는 잘한 일이 있어도 말없이 지나치기 쉬우나
배우자의 칭찬은 다른 어떤 사람의 칭찬보다 크게 들린다.

격려하는 말은 배우자의 마음에 공감하거나 같은 관점에서 세상을 볼 때 가능하므로
먼저 배우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배워야 한다.

누구나 그렇듯이 배우자에게도 아직 계발되지 않은 잠재력이 삶의 구석구석에 존재한다.
이러한 잠재력은 격려와 인정하는 말을 통해 용기를 얻게 된다.

또한 부부간에는 많은 부분에서 도움을 주고받게 되지만
작은 일에도 감사하다는 표현을 하게 되면 서로 간에 기쁨이 있고 의욕이 솟는다.

사랑하는 감정을 말로 표현하려면 온유하고 겸손한 말이 필요하다.

유순한 대답은 분노를 쉬게 한다.
고통스럽고 화가 나는 상황이라도 온유하게 표현하면 그것은 사랑의 표현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과거의 실수를 기억하여 반복적으로 상기시키고 문제 삼는 행위는 사랑의 진정한 의미를 모르는 처사이다.

상대방의 실수를 처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과거를 과거로 끝내는 것이다.
진정한 사랑은 상대방의 실수를 용서하고 기억하지 않는 것이다.

이 때 자신의 잘못으로 인한 경우에는 솔직히 용서를 구하고
자신의 입장만을 합리적으로 입증하려고 들기 보다는 이해와 화해를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랑의 관계를 유지하려면 서로의 바라는 바를 명확히 알아 민감하게 반응해주는 것이 중요하며
자신의 원하는 바를 요구할 때는 정중하게 요청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랑은 무례히 행치 않는 것이므로 요구하는 대신 겸손히 부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대방에게 요구하는 것이 아닌 정중한 부탁은 상대방의 존재가치와 능력을 신뢰하는 것이다.

자기 뜻대로 따라주지 않는다고 짜증을 내거나 명령하는 것은 더 더욱 좋지 않다.

사랑하는 사람은 상대방에게  교만하지 않고 겸손한 마음을 갖게 되며
온유한 마음으로 상대방의 마음을 감동시킨다.

사랑의 언어 중의 하나인 ‘상대방을 인정하는 말’을 알아가게 되면

서로의 마음이 인격적인 관계로 발전하게 되므로
사랑의 결속은 더욱 든든히 다져지게 된다.

온유하고 겸손한 사랑의 표현을 통해 서로의 마음은 부드럽고 푸근하게 되어
두 사람의 사랑은 싱그럽고 아름다운 모습으로 생기를 더해가게 된다.

더 나아가
차원 높은 사랑의 경지를 체험하게 됨으로서
결혼의 꿈은 더 이상 꿈이 아닌 현실적인 행복의 뿌리를 튼튼히 내리게 되는 것이다.


                                           굿네이버스 부모교육전문가협회 / 부모교육전문가협회칼럼

출처 : 아름다운 사람들(미술 심리)
글쓴이 : 성귀순 원글보기
메모 :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