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치료프로그램◑

동그라미 가족화검사

우야씨의 일상 2008. 1. 16. 23:31

동그라미 가족화검사


작성요령:  '원의 중심에 당신의 가족(아버지, 어머니, 나, 형제)을 그려주세요, 인물상은 '막대기상' 이라던가 '만화' 같은 그림이 아닌 '전신상'을 그려주세요,  원의 주변에는 그려진 인물에 대해 자유연상을 하고  최대한 표현될수 있도록 그려주세요.


동그라미 중심 가족묘화법은 새로운 투사적 묘화법으로서 사람들에게 내제되어 있는 부모와 자신과의 접촉을 표현하게된다. 동그라미 중심에 가족중의 한사람을 그리고 그주변을, 그사람하면 떠오르는 상징들을 그리게 함으로서 내담자와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관계를 알수 있는 검사이다.



내담자에게 직경 19.1 ~ 22.9Cm의 둥근원이 그려져 있는 21.6 ~ 27,9Cm 의 표준용지를 주어 '아버지', '어머니','자신'을 중심에 두고 원의 주변에 시각적인 자유연상을 통하여 그린상징을 배치하면 동그라미 가족묘화가 된다.



1.해설기준

-인물상의 상대적 크기 (인물내부에 포함된 힘의 양을 반영.)

-신체중 일부 생략과 강조 (신체각부중 어느부분이 생략,강조되었는가.) 

-얼굴의 표정(누가'웃고','울고'있는가?, 행복(불행) 한가?, 인물상에 눈을 가지고 있는가?) 

-인물상 바로위의 상징(첫째연상된 감정, 하트는 사랑을 의미, 칼은 분노)

-자신의 주변의 상징이 부모 묘화의 옆에 반복해서 등장 하는가.

-자신의부모의 한쪽편 또는 양쪽편의 묘화 옆에 반복해서 등장 하는가.

-어느 인물상이 애착을 나타내는 열쇠를 가지고 있는가.

-인물상 주변의 상징들은 긍정적인가, 부정적인가.



2.불건강하게 내재화된 부모상과 자기상의 그림특징.

-인물상의 신체 각부위가 생략된 사람.

-모, 부, 자기상의 지나친 크기와 왜곡.

-화목하지 않은 얼굴 표정이나 생략.

-부친상과 모친상이 중심부에 있거나 중심부가 비어 있다.

-인물상들이 서로 멀리 떨어져 있다.

-신체언어가 양친이나 자신을 향해서 밀어낸다거나 지키려고 한다.

-양친이 자신을 보고 있지않고, 눈이 없거나 앞만 보고 있다.

-주의의 상징들이 부정적이다.

-그림에서 당신이 살고 싶지 않은 듯한 세계를 그리고 있다.



3. 생략과 과장

-눈과 눈동자의 생략 : 보이지 않는 사람을 그리고 있다.

-코의 생략 : 분노를 나타내지 않으려는것.('싸워서 안돼'라는 가정에서 양육된사람)

-입의 생략 : 의존성과 약함을 표현할수 없는 것을 나타내고 있음.

-목의 생략 : 완고한 사람의 머리(강한의지의 사람)

-팔의 생략 : 힘에 대한 불안에서 연상.

-허리밑부분의 생략 : 성에 대한 부정.

-발의 생략 : 불안정과 집시같은 성격.(방량)

-눈의 과장 : 과도한 경계.

-코의 과정 : 외부로 향한 분노.(돼지코, 근육코)

-입의 과정 : 의존성 (기린목 같은 길게 뺀 목도 같은 의미)

-길게 늘어진 팔 : 힘과 조정에 대한 욕구.

-길게 늘어진 발 : 안전과 안정성에 대한 욕구.



동그라미 가족화는 정신역동적인 강한 의미를 부각시킬수 있으며 아동기의 상처와 억압, 스트레스, 부모와 형제에 대한 양가감정, 동일시를 드러나게 함을 알수 있다.



그림을 검사시 상담자는 내담자의 그림을 검사 분석하고, 내담자와  충분한 대화를 통한 면담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를 그림을 보면서 대화를 하면서 내담자와 가족내의 사람들과 맺는 수용과 갈등관계를 탐색 하여야 한다.   검사시 충분한 대화를 통한 검사 분석내용 과 면담내용을 정리한 면담일지를 작성 하여 차기 검사시 활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