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자나 정신과의사를 만나면 사람들은 자기 속을 들여다 볼 것 같아 조심스러워한다.
혹시나 자기를 심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사람으로 볼까봐 불안해 한다. 이런 태도는 한국사람들 뿐 아니라
미국사람이나 유럽 사람들도 마찬가지다.
그러면 왜 사람들은 이처럼 심리문제에 대해 민감할까 ?
그것은 심리문제를 정신병과 관련지어 생각하고, 또 정신병은 정신이 이상해져 변질되는 것으로 생각되어
공포심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하지만 심리문제라고 해서 신체질병보다 더 나쁘거나 이상하다고 볼 수 없다.
왜냐하면 심리문제도 신체질병과 마찬가지로
외부의 영향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발생했다가 없어지는, 단지 우리에게 조금 불편한 현상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심리문제는 밤에 이불을 제대로 안 덮고 자는 바람에 감기에 걸린 것과 조금도 다름이 없다. 열이 나고 한기가
나다가도 약먹고 며칠 푹 쉬고 나면 감기가 회복되는 것과 같이 심리적인 문제도 가족이나 친구와 대화하거나
혹은 심리치료를 받고 한동안 안정을 취하면 곧 원래상태로 회복된다.
심리문제는 신체질병과 마찬가지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누구에게나 조금씩은 다 있으며, 문제가 있다해도
그다지 걱정할 일이 못된다. 즉, 우리 모두 조금씩은 신체질환을 다 갖고 있지만 살아가는데 큰 지장이 없듯이
심리문제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가 신체와 마음에 대해 차별을 두는 데 있다. 즉, 길바닥에 넘어져 무릎에 피가 나는데도
이를 무시하고 방치하는 사람은 드물지만, 친구와 대화 도중에 받은 상처를 그냥 무시하고 억누르는 사람은 너무나 많다.
신체의 상처를 그냥 방치하면 곪아서 나중에 더 큰 문제를 일으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마음의 상처도 마찬가지다.
아픈 마음을 치료받지 않으면 점점 큰 병이 된다.
마음의 병이란 그렇게 거창한 것도 별난 것도 아니다. 특별한 사람들만이 앓는 것도 아니다.
남들의 눈에 띄는 이상한 행동을 해야만 병이라고 볼 수 없다. 대부분의 우리가 간혹 한번씩 하는 생각, 간혹 갖게 되는 심정,
불쑥불쑥 드는 충동들, 그런 것들 속에 이미 마음의 병을 발견할 수 있다.
김정규(심리치료와 자신의 발견)
'-◈생활속 심리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갈등론 (0) | 2009.05.28 |
---|---|
[스크랩] 손의 움직임을 통해본 심리 (0) | 2009.05.28 |
<<훌륭한 교사에 대해 일반적으로 갖고 있는 일반인들의 관념>> (0) | 2009.03.12 |
자녀를 건강하게 키워낼 수 있는 부모의 대화법 & 체크리스트 3 (0) | 2009.02.19 |
자녀를 건강하게 키워낼 수 있는 부모의 대화법 & 체크리스트 2 (0) | 2009.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