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의 성기관 중에서 가장 큰 것은 무엇일까. 이 질문을 받은 사람들은 대개 배꼽 아래를 생각하기 십상이다. 발기한 음경을 연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답은 페니스가 아니라 뇌이다. | |
|
‘3부 뇌’가설 뇌의 구조와 기능은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지만 다양한 설명이 시도되었다. 1973년 미국의 폴 매클린은 ‘3부 뇌’(triune brain) 가설을 발표했다. 매클린은 도마뱀에서부터 다람쥐에 이르기까지 동물의 행동을 연구한 끝에 사람의 뇌가 진화과정에서 차례대로 발달한 세부위로 구성되어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3부 뇌’ 모형에 따르면, 뇌는 파충류형 뇌, 변연계, 신피질의 세부분이 상호연결되어 있다.
파충류는 3억년 전에 지구상에 출현하여 2억년 전에 하등의 포유류로 진화되었기 때문에 사람의 파충류형 뇌는 약 2억-3억년 전에 발달된 것으로 추정된다. 파충류형 뇌는 인간의 생존에 기본적인 호흡이나 섭식과 같은 일상적 행동의 조정에 관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파충류형 뇌를 둘러싼 부분은 하등포유류의 뇌와 비슷한 변연계이다. 변연계는 시상, 시상하부, 해마, 뇌하수체 등으로 구성된다. 각 부위는 제각기 특정의 정서반응과 관련된다. 예컨대 시상하부는 성욕을 일으키며 성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한다. 뇌하수체는 시상하부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성선자극호르몬을 방출한다. 이 호르몬은 난소나 고환을 자극하여 성호르몬을 분비시킨다.
포유류가 진화되어 영장류가 출현됨에 따라 인간의 뇌에는 마지막으로 신피질이 발달했다. 파충류형 뇌와 변연계가 사람의 동물적 본능을 지배하는 원시적 뇌라면, 뇌의 90%를 점유하는 신피질은 원시적 뇌를 통제하여 인간적 이성을 지배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성의 힘이 순간적으로 약화될 때마다 원시적 뇌가 주도권을 잡게 되며, 인간은 원시적 뇌에 고정된 공격성, 잔인성, 성욕 따위의 충동에 휘말려 살인까지 서슴지 않는다. 인간이 두 얼굴을 갖게 된 연유이다.
전시의 로맨스가 극적인 이유
|
부모의 반대에 직면할 때 사랑이 더욱 불타오르는 이유는 무엇일까? 스릴 넘치는 위기에 빠지면 페닐에틸라민이라는 천연의 각성제가 많이 분비돼 중추신경을 자극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 있다('로미오와 줄리엣'의 장면) | 사람이 사랑을 할 때에는 뇌 안에 다양한 화학물질이 분비된다. 미국의 약리학자인 마이클 리보비츠에 따르면, 상대방에게 얼이 빠지는 사랑의 첫 단계에서는 페닐에틸라민(PEA)이 변연계를 가득 채우며, 남녀가 애착을 느끼는 사랑의 두번째 단계에서는 엔도르핀(endorphin)이 뇌 안에 흘러넘친다.
변연계의 신경세포가 PEA에 의해 포화되어 뇌가 자극을 받을 때 상대방에게 홀린 듯한 느낌을 갖게 된다. PEA는 신경세포의 정보 교환을 촉진시키는 화학분자이며 천연의 암페타민(amphetamine)이다. 암페타민은 중추신경을 자극하는 각성제이다. 요컨대 PEA는 암페타민처럼 뇌를 자극하기 때문에 연인들은 행복감에 도취되며 활기가 넘칠 뿐 아니라 밤새 마주보고 앉아서도 지칠줄 모르며 몇 시간이고 되풀이해서 성교를 즐기게 되는 것이다.
또한 PEA는 스릴을 느낄 때 더 많이 분비된다. 이 사실은 사람들이 위기에 처할수록 더 사랑에 빠지게 되는 이유를 설명하는데 보탬이 된다. 이를테면 전시의 로맨스는 극적인 요소가 많다. 부모의 반대에 직면하면 사랑은 더욱 불타오른다. 스릴넘치는 위기는 일종의 최음제인 셈이다.
남녀가 상대에게 애착을 느낄 때 나타나는 엔도르핀은 몸 안에서 분비되는 모르핀(endogeneous morphine)이라는 뜻이다. 모르핀은 양귀비에서 추출되는 가장 강력한 진통제이다. 엔도르핀은 PEA처럼 뇌에 있는 신경전달물질이지만, PEA와는 달리 통증을 억제하며 마음을 가라앉힌다. 리보비츠에 따르면, 애착을 느끼는 단계에 있는 연인들은 서로가 엔도르핀의 생산을 자극한다. 엔도르핀의 분비로 안전하고 평온하며 안정된 느낌을 공유하기 때문에 연인들은 평화롭게 대화하고 식사하며 잠들 수 있다. 또한 엔도르핀은 어머니가 갓난아이를 안고 귀여워할 때 아이의 몸 안에 흘러나온다. 따라서 아이들은 행복하고 평화로운 느낌을 갖게 되며 사랑의 기쁨을 배우게 된다.
사랑을 뇌에서 분비되는 화학물질의 작용으로 설명한 리보비츠 박사의 이론은 논란의 소지가 적지 않다. 사랑은 마음에서 비롯된다는 고정관념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물론 누구를, 언제, 어떻게 사랑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주체는 마음이다. 그러나 일단 특정 상대를 선택한 뒤에 사랑의 감정을 느끼게 하는 역할은 뇌 안의 PEA나 엔도르핀 같은 화학물질이 떠맡는다. 요컨대 사랑은 정신문화의 소산임과 동시에 생물학의 문제인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생물학적 관점에서 사랑은 선택이 아니라 필연이다. 종의 보존을 위해 사랑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자식을 사랑하는 부모라야 자식의 생존을 위해 헌신하므로 인류의 진화과정에서 사랑이 종의 보존을 위해 자연선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여자의 자식 사랑은 사회학자들의 주장처럼 후천적으로 학습한 역할임과 동시에 선천적으로 타고난 성향이라 할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