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 아동과 마음 이론
1. 마음이론
● 믿음, 바램과 같은 마음 상태는 몇 가지 중요한 특성이 있다.
- 마음은 사물과는 달리 겉으로 볼 수도 없고 만질 수도 없는 정신적이고 비 물질적인 것이다
- 마음은 사적이고 개인적인 것이다.
- 마음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그것이 표상이라는 점이다.
* 표상(representation) : 어떤 대상물이나 상황을 특정방식으로 나타내는 것 즉 표상 대상을 표상 내용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 표상 내용은 표상 대상의 실제 사실과 일치한다.
- 표상 대상과 표상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 우리는 흔히 표상 대상에 대한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이를 해석하여 마음에 표상하는데 표상 대상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가질 수 없으므로 표상 대상에 대해 잘못 알수도 있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게 표상 내용이 실제사실과 다른 경우가 있다.
(예: 자신의 친구가 자신을 절대로 배반하지 않을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그 친구가 실제로 그런 사람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친구의 특성에 대한 자신의 표상, 즉 친구에 대한 믿음이 친구의 실제 특성과 일치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믿고 있던 친구가 자신을 배반하는 일을 경험하고 나면 우리는 내가 잘못 알고 있었구나 하면서 친구에 대한 생각을 바꾸게 된다)
이와 같이 정신적 표상이 실재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마음이 사진과 같은 다른 물리적인 표상과 구분된다
→ 이와 같은 마음의 특성에 이해를 바탕으로 사람의 행동을 이해하는 것을 Premark Woodruff(1978)은 마음의 이론이라고 이름하였으며 지난 약 15년동안 많은 철학자와 심리하자들의 주된 연구 주제가 되어 왔다.
● 마음의 이론?
- 경험·내재적 상태와 행동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아동의 사고 체계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실제 세계의 경험이 행동으로 이행되는 과정속에는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신념·동기·정서·의도등의 내재적 상태 즉 마음이 존재하며 이러한 마음이 행동을 매개하고 결정하게 된다. 타인의 마음이 행동을 매개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해 아동이 생각하고 판단하며 이해하는 양상들에 대해 최근에 이 분야의 학자들이 붙여준 용어가 아동의 마음의 이론이다.
● 마음의 이론은 아동이 타인의 생각·욕구·감정등을 정확하게 추론하는 능력과 이러한 추론을 바탕으로 특정 상황에서 타인의 행동을 정확하게 예언하는 능력의 발달 과정을 보여준다. 따라서 아동이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것(아동의 인과관계)을 이해하기 위한 사회성 발달 영역의 중요한 연구 주제로 부각되고 있다.
● 마음의 이론은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된다.
- 첫째는 아동의 내재적 상태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능력이다,
- 둘째는 아동이 형성하는 타인의 신념에 대한 표상을 근거로 타인의 행동을 예언하는 능력이다.
● 마음의 특성을 아동이 언제부터 이해하게 되는가에 대해서는 두 가지 입장이 있다.
한 입장은 한 사물을 다른 것으로 가장하고 노는 가장 놀이를 시작할 때 마음의 표상적 특성을 이해한다고 보며 다른 한 입장은 4세 경에 틀린 믿음, 즉 어떤 사건에 대한 한 사람의 생각은 사실과 알치하지 않는다는 개념을 이해하게 될 때 비로서 마음의 표상적 특징을 이해한다고 본다. 그러나 이 두 입장이 공통적으로 어린 아이들은 마음 상태가 행동에 어떻게 반영되는지에 대한 본유적인 민감성을 가지고 있어서 엄마나 주변의 가까운 다른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과정에서 스스로 마음이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다는 것도 특별히 배우지 않아도 저절로 알게 된다고 본다.
- 신생아들은 다른 어떤 시각 자극보다 사람의 얼굴 자극을 선호하며 다른 어떤 청각 자극보다 사람의 목소리, 말소리를 선호하고 사람의 행동을 보는 것을 매우 즐긴다. 따라서 아기들은 태어나면서부터 나와 동종인 사람이 어떻게 생겼는지를 알고 또 이들의 행동에 주의함으로써 서서히 타인과 상호작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자신의 마음과 타인의 마음에 대해서 알 수 있는 기회에 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아동이 마음의 특성을 특별히 학습하지 않고도 저절로 이해할 수 있다고 해서 모든 아동이 그런 것은 아니다. 생물학적 요인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이러한 능력을 발달하지 못하는 아동이 있을 수도 있는데 이러한 아동이 바로 자폐증이다.
2. 자폐증
● 자폐증 환자들이 마음에 대한 이해가 결여되어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예
- 한 청년은 회사에 근무하면서 비교적 잘 적응하였으나 자신이 아는 사실을 다른 사람은 모를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여 남들에게 아무런 배경 설명없이 이야기를 하여 남들을 어리둥절하게 만들곤 하였다.
- 어떤 젊은이는 대단히 정직하다는 점을 인정받아 보석가게에 취직되었는데 남이 자신을 속이기 위해 거짓말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여 경비가 금고 열쇠를 달라고 할 때 아무런 의심도 하지 않고 열쇠를 주고 나가 보석들을 도난당하였다.
→ 이러한 예들은 자폐증 환자들이 마음이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또 자신이 보아서 알고 있는 사실을 다른 사람이 보지 않았다면 그 사람은 모를 수 있다는 것등 마음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3. 자폐 아동의 마음 이해 결함에 대한 실험적 연구 결과
- 틀린 믿음(false belief), 지식(knowledge), 가장(pretence), 바램(desire), 지각(perception), 정서(emotion)등과 같은 여러 마음의 상태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 Baron-Cohen, Leslie와 Frith (1985)
- 어떤 상황에 대한 우리의 생각이 사실과 다를 수 있다는 것, 틀린 믿음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자폐아가 이해하는 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들은 Wimmer와 Perner(1983)가 정상아를 대상으로 사용했던 과제를 번안하여 Sally-Anna test를 만들었다.
- Sally와 Anna가 한 방에서 놀다가 Sally가 공기돌을 바구니속에 넣고 방을 나간다. 그 후 Anna가 공기돌을 상자안에 옮겨놓았다는 사실을 Sally가 보지 못했으므로 자신이 원래 놓았던 장소에 있다고 사실과 다른 틀린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 4세 정상아의 경우 27명중 23명이 정확하게 답하였다. 다운 증후군의 경우(생활연령: 10년 11개월, 언어정신연령 2년 11개월)는 14명중 12명이 정답하였다. 그러나 자폐 아동의 경우 (생활연령: 11년 11개월, 언어정신연령: 5년 5개월)는 이들의 정신연령이 다운 증후군의 아동의 정신 연령보다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20명중 4명만이 정답을 하였다.
- 이 결과는 정신지체아도 이해할 수 있는 틀린 믿음을 지능이 더 좋은 자폐 아동이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Baron-Cohen (1987)
- 자폐 아동이 바나나를 전화기라고 사실과는 다르게 가장하여 노는 가장 놀이를 잘 하지 못한다는 것을 밝혔다. 그는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상황에서 한 물건을 다른 물건인냥 가지고 놀거나, 그 사물이 가지고 있는 것인냥 하는 것(움직이지 않는 것을 움직이는 것으로, 빈 컵인데도 물이 있는 것처럼 행동하는 것)을 가장 행동으로 정하였다.
- 90%의 정상아와 80%의 다운증후군 아동이 이러한 행동을 보였으나 자폐아의 경우는 20%만이 가장행동을 하였다.
● Leslie와 Frith (1968)
- 어떤 사건을 직접 보거나 그 사건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서 정보를 가진 사람만이 그 사건에 대해 안다는 사실을 자폐 아동이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을 밝혔다.
● Baron-Cohen (1991)
- 자폐 아동이 자신이 바라는 물건을 얻으면 기쁘고 바라지 않던 물건을 받으면 기쁘지 않다는 사실은 이해하나, 자신이 원하는 물건을 얻으리라고 생각한다면 기쁠 것이라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을 밝혔다.
1. 마음이론
● 믿음, 바램과 같은 마음 상태는 몇 가지 중요한 특성이 있다.
- 마음은 사물과는 달리 겉으로 볼 수도 없고 만질 수도 없는 정신적이고 비 물질적인 것이다
- 마음은 사적이고 개인적인 것이다.
- 마음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그것이 표상이라는 점이다.
* 표상(representation) : 어떤 대상물이나 상황을 특정방식으로 나타내는 것 즉 표상 대상을 표상 내용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 표상 내용은 표상 대상의 실제 사실과 일치한다.
- 표상 대상과 표상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 우리는 흔히 표상 대상에 대한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이를 해석하여 마음에 표상하는데 표상 대상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가질 수 없으므로 표상 대상에 대해 잘못 알수도 있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게 표상 내용이 실제사실과 다른 경우가 있다.
(예: 자신의 친구가 자신을 절대로 배반하지 않을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그 친구가 실제로 그런 사람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친구의 특성에 대한 자신의 표상, 즉 친구에 대한 믿음이 친구의 실제 특성과 일치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믿고 있던 친구가 자신을 배반하는 일을 경험하고 나면 우리는 내가 잘못 알고 있었구나 하면서 친구에 대한 생각을 바꾸게 된다)
이와 같이 정신적 표상이 실재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마음이 사진과 같은 다른 물리적인 표상과 구분된다
→ 이와 같은 마음의 특성에 이해를 바탕으로 사람의 행동을 이해하는 것을 Premark Woodruff(1978)은 마음의 이론이라고 이름하였으며 지난 약 15년동안 많은 철학자와 심리하자들의 주된 연구 주제가 되어 왔다.
● 마음의 이론?
- 경험·내재적 상태와 행동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아동의 사고 체계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실제 세계의 경험이 행동으로 이행되는 과정속에는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신념·동기·정서·의도등의 내재적 상태 즉 마음이 존재하며 이러한 마음이 행동을 매개하고 결정하게 된다. 타인의 마음이 행동을 매개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해 아동이 생각하고 판단하며 이해하는 양상들에 대해 최근에 이 분야의 학자들이 붙여준 용어가 아동의 마음의 이론이다.
● 마음의 이론은 아동이 타인의 생각·욕구·감정등을 정확하게 추론하는 능력과 이러한 추론을 바탕으로 특정 상황에서 타인의 행동을 정확하게 예언하는 능력의 발달 과정을 보여준다. 따라서 아동이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것(아동의 인과관계)을 이해하기 위한 사회성 발달 영역의 중요한 연구 주제로 부각되고 있다.
● 마음의 이론은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된다.
- 첫째는 아동의 내재적 상태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능력이다,
- 둘째는 아동이 형성하는 타인의 신념에 대한 표상을 근거로 타인의 행동을 예언하는 능력이다.
● 마음의 특성을 아동이 언제부터 이해하게 되는가에 대해서는 두 가지 입장이 있다.
한 입장은 한 사물을 다른 것으로 가장하고 노는 가장 놀이를 시작할 때 마음의 표상적 특성을 이해한다고 보며 다른 한 입장은 4세 경에 틀린 믿음, 즉 어떤 사건에 대한 한 사람의 생각은 사실과 알치하지 않는다는 개념을 이해하게 될 때 비로서 마음의 표상적 특징을 이해한다고 본다. 그러나 이 두 입장이 공통적으로 어린 아이들은 마음 상태가 행동에 어떻게 반영되는지에 대한 본유적인 민감성을 가지고 있어서 엄마나 주변의 가까운 다른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과정에서 스스로 마음이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다는 것도 특별히 배우지 않아도 저절로 알게 된다고 본다.
- 신생아들은 다른 어떤 시각 자극보다 사람의 얼굴 자극을 선호하며 다른 어떤 청각 자극보다 사람의 목소리, 말소리를 선호하고 사람의 행동을 보는 것을 매우 즐긴다. 따라서 아기들은 태어나면서부터 나와 동종인 사람이 어떻게 생겼는지를 알고 또 이들의 행동에 주의함으로써 서서히 타인과 상호작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자신의 마음과 타인의 마음에 대해서 알 수 있는 기회에 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아동이 마음의 특성을 특별히 학습하지 않고도 저절로 이해할 수 있다고 해서 모든 아동이 그런 것은 아니다. 생물학적 요인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이러한 능력을 발달하지 못하는 아동이 있을 수도 있는데 이러한 아동이 바로 자폐증이다.
2. 자폐증
● 자폐증 환자들이 마음에 대한 이해가 결여되어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예
- 한 청년은 회사에 근무하면서 비교적 잘 적응하였으나 자신이 아는 사실을 다른 사람은 모를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여 남들에게 아무런 배경 설명없이 이야기를 하여 남들을 어리둥절하게 만들곤 하였다.
- 어떤 젊은이는 대단히 정직하다는 점을 인정받아 보석가게에 취직되었는데 남이 자신을 속이기 위해 거짓말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여 경비가 금고 열쇠를 달라고 할 때 아무런 의심도 하지 않고 열쇠를 주고 나가 보석들을 도난당하였다.
→ 이러한 예들은 자폐증 환자들이 마음이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또 자신이 보아서 알고 있는 사실을 다른 사람이 보지 않았다면 그 사람은 모를 수 있다는 것등 마음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3. 자폐 아동의 마음 이해 결함에 대한 실험적 연구 결과
- 틀린 믿음(false belief), 지식(knowledge), 가장(pretence), 바램(desire), 지각(perception), 정서(emotion)등과 같은 여러 마음의 상태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 Baron-Cohen, Leslie와 Frith (1985)
- 어떤 상황에 대한 우리의 생각이 사실과 다를 수 있다는 것, 틀린 믿음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자폐아가 이해하는 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들은 Wimmer와 Perner(1983)가 정상아를 대상으로 사용했던 과제를 번안하여 Sally-Anna test를 만들었다.
- Sally와 Anna가 한 방에서 놀다가 Sally가 공기돌을 바구니속에 넣고 방을 나간다. 그 후 Anna가 공기돌을 상자안에 옮겨놓았다는 사실을 Sally가 보지 못했으므로 자신이 원래 놓았던 장소에 있다고 사실과 다른 틀린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 4세 정상아의 경우 27명중 23명이 정확하게 답하였다. 다운 증후군의 경우(생활연령: 10년 11개월, 언어정신연령 2년 11개월)는 14명중 12명이 정답하였다. 그러나 자폐 아동의 경우 (생활연령: 11년 11개월, 언어정신연령: 5년 5개월)는 이들의 정신연령이 다운 증후군의 아동의 정신 연령보다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20명중 4명만이 정답을 하였다.
- 이 결과는 정신지체아도 이해할 수 있는 틀린 믿음을 지능이 더 좋은 자폐 아동이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Baron-Cohen (1987)
- 자폐 아동이 바나나를 전화기라고 사실과는 다르게 가장하여 노는 가장 놀이를 잘 하지 못한다는 것을 밝혔다. 그는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상황에서 한 물건을 다른 물건인냥 가지고 놀거나, 그 사물이 가지고 있는 것인냥 하는 것(움직이지 않는 것을 움직이는 것으로, 빈 컵인데도 물이 있는 것처럼 행동하는 것)을 가장 행동으로 정하였다.
- 90%의 정상아와 80%의 다운증후군 아동이 이러한 행동을 보였으나 자폐아의 경우는 20%만이 가장행동을 하였다.
● Leslie와 Frith (1968)
- 어떤 사건을 직접 보거나 그 사건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서 정보를 가진 사람만이 그 사건에 대해 안다는 사실을 자폐 아동이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을 밝혔다.
● Baron-Cohen (1991)
- 자폐 아동이 자신이 바라는 물건을 얻으면 기쁘고 바라지 않던 물건을 받으면 기쁘지 않다는 사실은 이해하나, 자신이 원하는 물건을 얻으리라고 생각한다면 기쁠 것이라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을 밝혔다.
'♥Art Therapy♥'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HD와 함께 발생하는 질환은 (0) | 2008.01.11 |
---|---|
ADHD 집단 놀이 치료 (0) | 2008.01.11 |
분석심리학에서 보는 <정신병리> (0) | 2008.01.11 |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0) | 2008.01.11 |
질투심의 정신병리 (0) | 2008.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