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자료, 부모교육

[스크랩] ADHD(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우야씨의 일상 2008. 10. 12. 12:04

ADHD(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1. ADHD란?
☞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은 정상범위에 있으나 유난히 주의가 산만해서 놀이나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고 항상 부산하게 움직이면서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말한다.

2. 주요증상
☞ 주의가 산만하고 과잉행동을 보이는 것은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이미 시작되지만, 그러한 행동이 집밖에서 문제를 일으키기 전까지는 부모들이 알아채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초기에 전문적인 도움을 구하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시작된 지 여러 해가 지난 뒤에야 진단을 받는 경우가 많다.

1) 부주의
- 이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부주의함은 학업, 직업, 사회 상황에서 드러남
- 세부적인 면에 면밀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고, 신중하지 않고 무질서하여서 학업이나 다른 과업에서 자주 실수를 범함
- 지속적으로 주의를 집중하지 못하고, 일을 끝마칠 때까지 과업을 지속하지 못하며, 마치 마음이 다른 곳에 가 있고 다른 사람이 무슨 말을 하는지 경청하지 않는 것처럼 보임
- 사소한 자극에도 쉽게 산만해지고, 다른 사람의 요청이나 지시에 따라 일을 하지 못함

2) 과잉행동
- 무언가를 계속 만지작거리거나 자리에서 옴지락거리고, 가만히 앉아 있어야 할 경우에도 잠시도 가만히 앉아있지 못함
- 상황에 맞지 않게 지나치게 뛰어다니거나, 아무데나 기어오르고, 일을 조용하고 차분하게 하지 못함
- 끊임없이 활동하거나 마치 무언가에 쫓기는 사람처럼 보이고 지나치게 수다스럽게 말함
- 어떤 계획과 목적을 가지고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정신없이 뭔가를 하는 것처럼 보임

3) 충동성
- 성급하게 말하거나 행동함
- 질문이 채 끝나기도 전에 성급하게 대답하고, 자기 차례를 기다리지 못함
- 다른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고 간섭하기도 함
- 자신의 행동이나 말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 것인지를 예상하지 못하는 듯 행동함
- 조심성이 없고 주변 상황을 주의 깊게 살피지 않으며, 지금 당장 원하는 것을 하거나 손에 넣으려함

3. 원인
☞ 원인이 정확히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현대의학에서는 신경생물학적 측면과 심리ㆍ정서적 측면에서 그 원인을 찾고 있다.

- 중추 신경계 발달의 미성숙 또는 인지 기능, 특히 주의집중력과 관련이 있는 전두엽의 대사 장애로 인해 사람의 시분과 충동, 주의력을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의 결함으로 발생한다.
- 선천적 기질로 태어날 때부터 개인차가 있으며, 다른 아동들보다 정서적으로 산만하고 충동적이다.
- 시각이나 청각 등 감각기관과 지각능력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 사람의 말과 다른 환경적 소음을 구별하지 못하면서 주의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순서의 개념에 문제가 있는 아동인 경우에 일련의 사건으로 이루어진 지시에 듣고, 이해하고, 기억한 후에 적절한 행동으로 옮기는 과정에 문제가 있다.
- 환경과 심리적 요인으로 불안하고 참을성 없는 아동과 동기가 부족한 아동, 자신감이 없는 아동, 공상에 빠져 있는 아동은 대체로 주의가 산만하고 집중하지 못한다.
- 아동의 짧은 주의집중력에 대한 또 다른 이유는 영양과 관련될 수도 있다. 어떤 아동은 식사를 충분히 먹지 못해 배가 고프거나 또 어떤 음식에 지나치게 민감해서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불안정하면서 주의가 산만할 수 있다.
- 지나친 소음과 빈약한 교실환경, 교실 내의 무질서 등, 주변의 물리적 환경 자체가 아동들의 마음을 산만하게 해서 주의집중에 방해가 되는 수도 있다.
- 부모가 지시적이며 지나치게 통제와 간섭이 많고 아동에가 자율성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에 심리적 불안과 자신감 부족으로 인해 주의산만 할 수 있다.

4. 진단
☞ 이 장애로 진단내리기 위해서는 이런 증상으로 인한 장해가 적어도 두 가지 상황, 예를 들어 가정과 학교 혹은 작업장에서 나타나야 한다.

- ADHD에 대한 진단은 주의산만과 충동성, 과잉행동이 적어도 두 가지 장면 등 여러 상황에서 나타나야 한다.
- 증상은 주로 지속적인 주의나 정신적 노력이 요구되는 상황, 또는 관심을 끌 만한 매력이 없거나 신기함이 없는 상황에서 나타난다.
- 불안한 아동도 주의가 산만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서 진단해야 한다. 살펴본 진단 기준에 상당히 들어맞는다 싶으면 전문가를 찾아가야 한다.
- 전문적인 진단을 받아야 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부모나 교사가 대략 실시해 볼 수 있는 평가 방법으로 코너스(Conners)의 평가지를 이용할 수 있다. 

 

 코너스의 간편 진단 설문지

 

  여러분의 자녀나 학생이 다음 열 가지 행동을 어느 정도나 보이는지를 해당 점수에

  표시하십시오.

 

    0                                       1                                      2                                      3

 

 

 

 

 

 

 

전혀없음                              약간                                 상당히                       아주심함

 

1. 차분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활동적이다.                                                       0  1  2  3

2. 쉽게 흥분하고 충동적이다.                                                                         0  1  2  3

3. 다른 아이들에게 방해가 된다.                                                                     0  1  2  3

4. 한번 시작한 일을 끝내지 못하고, 주의집중 시간이 짧다.                                0  1  2  3

5. 늘 안절부절 못한다.                                                                                   0  1  2  3

6. 주의력이 없고 쉽게 주의가 분산된다.                                                          0  1  2  3

7. 요구하는 것은 금방 들어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쉽게 좌절한다.              0  1  2  3

8. 자주 또 쉽게 울어버린다.                                                                            0  1  2  3

9. 금방 기분이 확 변한다.                                                                                0  1  2  3

10. 화를 터뜨리거나 감정이 격하기 쉽고, 행동을 예측하기 어렵다.                     0  1  2  3

 



위의 진단 설문지를 통해서 평정한 열 문항의 점수를 모두 더해 16점을 넘으면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일 가증성이 있다. 이 경우 전문가와 상담하고 더 정밀한 심리검사를 받아보아야 한다.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고,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 기관을 통해서 확인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하자.


▶ 참고서적
*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 신현균ㆍ김진숙 지음. 학지사
* 아동행동수정. 강경미 저. 학지사
* ADHD가족치료. Craig A. EverettㆍSandra Volgy Everett공저. 학지사

 
출처 : 봄사랑
글쓴이 : 봄사랑 원글보기
메모 :